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7

<2> 표현력이 좋아진다 -휘준- 💬 표현력이 좋아진다 — 말이 고와지면, 삶도 고와진다🖋 말은 곧 사람이다“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이 고전적인 속담은 시대를 불문하고 여전히 유효합니다.저는 여든을 바라보는 나이에도 이 말을 자주 되뇌곤 합니다.왜냐고요?살아보니 결국 말이 곧 사람이더군요.그런데 이 말을 조금 바꿔볼까요?‘글 한 줄이 말투를 바꾼다’이건 제가 수필을 쓰며 체득한 또 하나의 진실입니다.글을 자주 쓰는 사람은 말도 바뀝니다.자연스럽게 차분해지고, 표현이 풍성해지며,상대의 말에 ‘한 박자 늦게 반응하는 여유’까지 생깁니다.말이 고와지면 삶이 부드러워지고,삶이 부드러워지면 사람과의 관계가 술술 풀립니다.그 모든 변화의 시작점이 글쓰기일 수 있다는 걸저는 매일 새삼스럽게 느끼고 있습니다. ✍️ 글쓰기와 말하기는 형제.. 2025. 6. 21.
<1> 글은 생각의 거울이다 -휘준- 🧠 글은 생각의 거울이다― 막연했던 마음이 문장으로 정리되는 순간들 1. 머릿속이 엉킨 날, 글 앞에 앉아보세요살다 보면 괜히 울컥하는 날이 있습니다.딱히 큰일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누가 상처 준 것도 아닌데, 기분이 구겨진 휴지처럼 흐물흐물하고, 머릿속은 엉킨 실타래처럼 복잡합니다. 이럴 때 저는 조용히 컴퓨터 앞에 앉거나, 작은 수첩을 꺼냅니다. 무얼 쓰겠다고 정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그냥 “오늘 왜 이러지?”라는 한 줄로 시작해도 됩니다. 그 한 줄이 실마리가 됩니다. 적다 보면 나도 몰랐던 내 기분이 슬그머니 고개를 내밉니다.‘아, 이게 서운했구나.’‘그 말이 자꾸 마음에 걸렸던 거였네.’그제야 퍼즐이 맞춰지듯 마음이 가라앉습니다.글은 아주 훌륭한 마음의 청소기입니다.소리 없이, 정리 없이 .. 2025. 6. 20.
글을 잘 쓰면 인생이 달라지는 7가지 이유 -휘준- “글을 잘 쓰면 뭐가 달라지나요?”이런 질문을 종종 받습니다. 특히 하던 일에서 은퇴를 했거나, 시간이 많아진 삶 속에서 글쓰기를 시작하려는 분들이 조심스럽게 묻곤 하시죠.저는 이렇게 대답합니다. “생각이 달라지고, 말이 달라지고, 결국 인생이 달라집니다.” 과장 같다고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글, 특히 수필을 잘 쓰는 건 단순한 ‘재주’가 아니라 인생을 더 깊고 단단하게 사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자, 그럼 왜 글쓰기가 그렇게 좋은지, 7가지 이유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생각이 정리된다 — “글은 생각의 거울이다”살다 보면 감정이 뒤섞이고, 머릿속이 어수선할 때가 많습니다. 그럴 때 글을 써보세요. 펜을 들거나 키보드를 치는 순간, 막연했던 생각이 문장으로 ‘정리’되기 시작합니다.글쓰기는 내가 무.. 2025. 6. 19.
마누라 미안허이! -휘준- 마누라 자랑 딱 한 번만 하겠습니다.제 아내는 예쁜 편입니다. 새로 옮긴 교회에서도 별명은 이쁜이 집사로 통합니다. 아내의 친구 중에서 아내보다 예쁜 사람은 못 봤습니다. 그러나 요즘 만난 후배 윤 집사는 다릅니다. 아내보다 젊고 예쁩니다.아내는 아침상에 김치 한 보시기를 올리며 그 예쁜 후배가 김치를 담갔다며 가져온 거라고 했습니다. 그럼 엊저녁에 먹은 김치도 그거냐고 물었더니 아내는 손가락을 쪽쪽 빨며 칭찬을 했습니다."계집애 어쩌면 이렇게 맛을 냈을까, 친정이 음식점 하나?"속 고갱이를 먹으면서 그녀가 김치 담그는 모습을 상상했습니다. 앞치마를 두르고 정성을 다하는 예쁜 모습을 생각하니 그 맛도 일품이었지만 기분도 묘했습니다. 마치 그녀네 식탁에 앉아 있는 듯한 착각도 들었습니다. 그녀가 김치를 건.. 2025. 6. 18.
태식, 그 고집에 넌 벌써 죽은 거다 -휘준- 영혼이 없다는 사람은 죽은 사람이다.​가끔 모임에서 만나고 같은 식탁에서 하이 파이브로 공감을 나누던 태식이. 그와 나의 생각차이가 늘그막엔 이렇게 클 줄이야. 어제 그가 '내 인생에 영혼은 없다, 죽으면 모든 게 끝이다.'라는 주장을 올렸다. 죽음을 연구한 학자, 미국 교수의 저서까지 인용하면서...​이건 아니다 싶어 내 생각을 옮기다 보니 길어져서, 다시 짧게 다듬어 답글을 달았다.‘제사와 영혼’ -휘준-제사(祭祀): 네이버 사전을 보면, 죽은 사람의 넋에 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나타냄. 또는 그런 의식이라 나옵니다.여기에 나오는 넋은 영혼(靈魂)을 말합니다. 영혼은 영과 혼으로 분리됩니다만 흔히 영혼을 정신(마음)이라 부를 수 있으며, 이는 육체(肉體)와 함께 사람을 이룹니다. 육체의 고통은 상처를 .. 2025. 6. 17.
늙어가는 틈에 낀 틈바구니 -휘준- 같은 직장에서 30년 넘게 같이 늙은 동료 셋이 세 번째 만난다. 고교 동창이다. One table에 네 명이 좋은 것 같아 한 명을 더 물색 중인데, 만남 장소에서 집이 멀지 않은 친구를 찾기가 쉽지 않다. 한 명은 학교가 달라도 직장 동료였으면 좋겠다고 하고, 또 하나는 직업이 달라도 동창 중에서 구하기를 원했다. 직장 동료를 원하는 쪽에선 회사 에피소드나 경험담 나누기를 좋아하지만, 자꾸 과거 얘기 나눔은 좋은 방향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다행히 재미있는 친구가 나타났다. 공대 4학년 때 매우 드물게 은행에 합격하여 지점장으로 정년퇴직한 친구다. 은행은 상대 애들도 떨어지곤 했지 않았나. 집도 우리 동네와 가까웠다. 반가운 마음에 대뜸 단톡에 올렸다.​두 사람 동의하시면 57회 동기 한 명 초대.. 2025.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