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예찬 –민태원-
청춘! 이는 듣기만 하여도 가슴이 설레는 말이다.
청춘! 너의 두 손을 가슴에 대고, 물방아 같은
심장의 고동을 들어 보라. 청춘의 피는 끓는다.
끓는 피에 뛰노는 심장은 거선(巨船)의
기관(汽罐)과 같이 힘있다. 이것이다.
인류의 역사를 꾸며 내려온 동력은 바로 이것이다.
이성(理性)은 투명하되 얼음과 같으며
지혜는 날카로우나 갑 속에 든 칼이다.
청춘의 끓는 피가 아니더면,
인간이 얼마나 쓸쓸하랴?
얼음에 싸인 만물(萬物)은 죽음이 있을 뿐이다.
그들에게 생명을 불어 넣는 것은 따뜻한 봄바람이다.
풀밭에서 속잎 나고, 가지에 싹이 트고,
꽃 피고 새 우는 봄날의 천지는
얼마나 기쁘며 얼마나 아름다우냐?
이것을 얼음 속에서 불러내는 것이
따뜻한 봄바람이다. 인생에 따뜻한 봄바람을
불어보내는 것은 청춘의 끓는 피다.
청춘의 피가 뜨거운지라, 인간의 동산에는
사랑의 풀이 돋고, 이상(理想)의 꽃이 피고,
희망(希望)의 놀이 뜨고, 열락(悅樂)의 새가 운다.
사랑의 풀이 없으면 인간은 사막이다.
석가는 무엇을 위하여
설산(雪山)에서 고행(苦行)을 하였으며,
예수는 무엇을 위하여 황야(荒野)에서 방황하였으며,
공자는 무엇을 위하여 천하를 철환(撤還)하였는가?
밥을 위하여서, 옷을 위하여서,
미인(美人)을 구하기 위하여서 그리하였는가?
아니다. 그들은 커다란 이상,
곧 만천하(滿天下)의 대중(大衆)을 품에 안고,
그들에게 밝은 길을 찾아 주며,
그들을 행복스럽고 평화스러운 곳으로
인도하겠다는, 커다란 이상을 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길지 아니한 목숨을 사는가시피
살았으며, 그들의 그림자는 천고(千古)에
사라지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가장 현저하여 일월(日月)과 같은 예가
되려니와, 그와 같지 못하다 할지라도 창공에
반짝이는 뭇별과 같이, 산야(山野)에 피어나는
군영(群英)과 같이, 이상은 실로 인간의 부패를
방지하는 소금이라 할지니,
인생에 가치를 주는 원질(原質)이 되는 것이다.
이상! 빛나는 귀중한 이상, 이것은 청춘이
누리는 바 특권이다. 그들은 순진한지라
감동하기 쉽고, 그들은 점염(點染)이 적은지라
죄악에 병들지 아니하고, 그들은 앞이 긴지라
착목(着目)하는 곳이 원대하고, 그들은 피가 더운지라
실현에 대한 자신과 용기가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이상의 보배를 능히 품으며,
그들의 이상은 아름답고 소담스러운 열매를 맺어,
우리 인생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보라, 청춘을! 그들의 몸이 얼마나 튼튼하며,
그들의 피부가 얼마나 생생하며, 그들의 눈에
무엇이 타오르고 있는가?
우리 눈이 그것을 보는 때에,
우리의 귀는 생(生)의 찬미(讚美)를 듣는다.
그것은 웅대한 관현악(管絃樂)이며,
미묘(微妙)한 교향악(交響樂)이다.
뼈끝에 스며들어 가는 열락의 소리다.
이것은 피어나기 전인 유소년(幼少年)에게서
구하지 못할 바이며, 시들어 가는 노년(老年)에게서 구하지 못할 바이며,
오직 우리 청춘에서만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청춘은 인생의 황금 시대(黃金時代)다.
우리는 이 황금 시대의 가치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이 황금 시대를 영원히
붙잡아 두기 위하여,
힘차게 노래하며 힘차게 약동하자
*****
충청남도 서산 출신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인 민태원(閔泰瑗)의 수필.
우보(牛步) 민태원[1894~1935]이 지은 「청춘예찬」은 1930년대 젊은이들의 피 끓는 정열, 원대한 이상, 건강한 육체를 들어 청춘을 찬미하고 격려한 수필이다. 힘과 박력이 넘치는 남성적 문장을 사용하였으되 물 흐르듯 도도하고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민태원은 『폐허』의 동인으로 활동하였고, 동아일보 사회부장과 조선일보 편집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1934년 〈매일신보〉에 장편 소설 《새 생명》을 연재하던 중 1934년 서울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