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필/공부 쪼끔29

[4] 글쓰기 기술, 넷째 '글의 구조 짜기' -휘준- 1. 구조 없는 글은 나침반 없는 항해글을 쓸 때 가장 흔하게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쓰다 보면 방향을 잃는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좋은 소재가 떠올라 기분 좋게 시작하지만, 몇 문단쯤 쓰고 나면 문장이 어디로 흘러가는지, 이 이야기가 무슨 말을 하려는 건지 혼란스럽기 시작한다. 내 안에는 하고 싶은 말이 너무 많은데, 막상 그 말을 풀어낼 질서가 없다 보니 글이 뱅뱅 돌고 만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글의 ‘구조 설계’, 즉 개요 짜기다. 구조는 글이 흔들리지 않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나침반이자 지도다.글을 쓴다는 건 단지 문장을 예쁘게 만드는 일이 아니다. 그것은 내 생각의 흐름을 독자가 따라올 수 있도록 잘 설계하는 일이다. 독자가 중간에 길을 잃지 않고, 끝까지 함께 갈 수 있도록 발자국을 남.. 2025. 4. 17.
[3] 글쓰기 기술, 셋째 주제의 구체화 -휘준- 이제 글쓰기의 네 가지 핵심을 정리해 보면독자 설정 – 누구에게 쓰는가목적 명확화 – 왜 쓰는가주제의 구체화 – 무엇을 말할 것인가구조 설계 –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1. 글에는 이유가 있어야 한다글을 쓴다는 건 무언가를 전달하고 싶다는 뜻이다. 그 무언가는 정보일 수도 있고, 감정일 수도 있고, 어떤 주장을 담은 메시지일 수도 있다. 그런데 막상 글을 쓰기 시작하면 자신이 왜 이 글을 쓰고 있는지 흐릿해질 때가 많다. 문장 하나하나는 괜찮은데, 글 전체를 보면 어딘가 흐트러져 있다. 이럴 때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하는 건 바로 **‘목적’**이다. 이 글을 왜 쓰는가? 무엇을 전달하려는가? 독자가 이 글을 읽고 나서 어떤 생각이나 감정을 갖기를 바라는가? 내가 대학 시절 첫 에세이를 쓸 때의 일이다. 그 .. 2025. 4. 16.
[2] 글쓰기 기술, 둘째 독자 맞춤형 접근 -휘준- 1. 글을 쓰는 이유를 묻는 일글을 쓴다는 건 생각을 말로 풀어내는 일이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이 많아도, 그 생각이 어디로 흘러가야 할지 모른다면 글은 금세 흐려지고 만다. 그래서 글을 잘 쓰기 위한 첫걸음으로 우리는 흔히 '독자 설정'을 이야기한다. 누구에게 말을 걸 것인지를 정하는 일. 이건 마치 카페에서 친구에게 할 얘기와 회사 상사에게 할 얘기를 구분하는 것처럼 너무도 기본적인 감각이다. 하지만 글을 쓸 때는 그 기본을 자주 잊는다. 독자를 정하는 건, 글의 방향을 정하는 일이다. 그런데 그다음은? 독자를 정했다면 이제는 '무엇을 말할지', '왜 말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바로 목적의 명확화다. 생각해 보면 우리 모두는 이유 없이 글을 쓰지는 않는다.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해, 어떤 사실을 전달하.. 2025. 4. 15.
[1] 글쓰기 기술, 첫째 '독자 맞춤형 콘텐츠' -휘준- 1. 글쓰기의 출발점, 독자 맞춤형 콘텐츠 찾기글을 잘 쓰고 싶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누구를 위한 글인가’를 정하는 것이다. 독자 설정은 단순한 전제 조건이 아니라, 글쓰기 전 과정의 방향타다. 글의 주제 선정부터 어휘 선택, 문장 구조, 전개 방식, 심지어 문장의 리듬과 문단의 길이까지도 독자에 따라 달라진다. 같은 내용을 담고 있어도 독자에 따라 글의 표현 방식은 전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AI)’에 대해 글을 쓴다고 해보자. 독자가 초등학생이라면 “로봇이 스스로 생각하는 기술”이라는 식으로 비유와 사례를 통해 쉽게 풀어야 한다. 반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다면 인공지능의 역사, 분류, 윤리적 쟁점 등 더 깊은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 이런 차이는 단순히 ‘단어를 쉽게.. 2025. 4. 14.
5. 글을 잘 쓰면 자존감이 올라간다 -휘준- 1 단락: 표현하지 못한 나, 답답함이 감싼 나많은 사람들이 ‘자존감’이라는 단어를 입에 올리지만, 실제로 그것이 무엇이고 어떻게 길러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자존감은 결국, 자기 자신에 대한 존중과 신뢰에서 비롯된다. 그런데 우리는 종종 스스로를 오해하거나, 타인에게 오해받는 과정에서 자존감을 잃는다. 마음속에 분명한 생각과 감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말로 풀어내지 못할 때, 표현의 벽에 부딪힐 때, 우리는 자신을 작게 느낀다. 특히 타인에게 오해받았을 때 “그게 아닌데…”라는 속마음을 품은 채 침묵해야 하는 순간, 우리 안의 자존감은 조용히 무너진다. 이처럼 자존감은 표현의 실패에서 상처받고, 제대로 표현할 수 있을 때 다시 살아난다. 그래서 글쓰기는 자존감을 회복하고 키우는 데 강력한 도구가 .. 2025. 4. 12.
4. 글을 잘 쓰면 기회가 열린다 -휘준- 1단락: 디지털 시대, 글이 곧 나다글을 잘 쓴다는 것은 곧 자기표현의 능력을 가졌다는 의미이며, 이는 이 시대에 무척 중요한 경쟁력이 된다. 과거에는 글이 특정 직업군의 전유물처럼 여겨졌지만, 지금은 누구나 글을 쓰고, 어디에나 게시할 수 있는 시대다. SNS, 블로그, 브런치, 유튜브 커뮤니티, 뉴스레터, 슬랙 채널, 심지어 댓글란까지—글을 올릴 수 있는 플랫폼은 무한하다. 그리고 그중 어느 하나라도 사람들의 공감을 얻으면, 그 글은 단순한 문장이 아닌 기회의 출발점이 된다. 디지털 공간에서 글은 나를 대신해 움직인다. 내가 자고 있는 동안에도, 그 글은 누군가의 타임라인에 노출되고, 공유되고, 평가받고, 누군가의 마음속에 각인된다. 잘 쓴 글 하나가 누군가의 눈에 띄는 순간, 예기치 못한 방식으로 .. 2025. 4. 11.